[뉴스]90% 폭등 사과값 뒤엔 ‘도매시장 경매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아쿠아스코어 댓글 0건 조회 702회 작성일 24-04-09 19:48본문
안성 타운하우스 공사장 물탱크서 노동자 3명 질식…1명 심정지
수정 2024-04-09 15:43 등록 2024-04-09 15:23
경기도 안성시의 한 타운하우스 신축 공사 현장에서 질식 사고가 일어났다. 사고를 당한 노동자 3명 가운데 1명은 심정지 상태로 병원으로 이송됐다.
9일 안성경찰서와 소방당국 등의 설명을 종합하면, 이날 오전 10시께 안성시 보개면의 타운하우스 신축 공사장 관리동 지하 물탱크(약 25㎡)에서 콘크리트 벽면에 방수액 칠 작업을 하던 노동자 ㄱ(50대·여)씨와 ㄴ(60대)씨가 갑자기 쓰러졌다. 이를 목격한 관리자 ㄷ(60대)씨가 이들을 구조하러 내부로 들어갔다가 함께 정신을 잃었다.
이들은 건축 현장 다른 곳에서 일하던 동료 노동자에 의해 발견됐다. ㄱ씨는 심정지 상태로 병원으로 옮겨져 아직 의식을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나머지 2명은 의식을 회복했으며,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상태다.
경찰은 방수액에 시너 등을 혼합해 사용하는 과정에서 유독 물질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탱크 내에서 해당 물질을 채증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성분 분석을 의뢰했다. 사고 현장은 진·출입 통로가 개방된 상태로 완전히 밀폐되지 않았고, 작업을 위한 환풍기도 설치됐던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환풍기가 제대로 작동했는지는 아직 파악되지 않았다. 경찰은 공사 현장 관계자를 대상으로 사고 경위와 안전수칙 준수 여부 등을 조사 중이다.
이정하 기자 [email protected]
https://www.hani.co.kr/arti/area/yeongnam/1135803.html
9년 뒤 ‘축구장 4천개’ 규모 사과밭이 사라진다
수정 2024-04-09 08:51 등록 2024-04-09 07:00
서늘한 기후에서 자라는 사과는 기후 변화에 취약한 품종이다. 온난화가 지금 추세대로 계속되면 한반도 남단에선 2090년쯤이면 사과 재배가 불가능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지난 1월 발표한 ‘농업전망 2024’를 보면, 2033년 사과 재배 면적은 3만900㏊로 올해 면적(3만3800㏊)보다 8.57%(2900㏊)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9년 동안 축구장(0.714㏊) 4천개 규모의 사과밭이 사라지는 것이다. 같은 기간 사과 생산량은 50만2천t(2024년)에서 48만5천t(2033년) 안팎까지 감소할 것이라는 게 연구원 전망이다.
최대 사과 산지인 경북은 지난해 재배 면적 69%에 해당하는 1만3851㏊에서 이상 기후로 인한 피해가 발생했다. 지난해 3~4월 사과꽃이 필 시기에 이상 저온이 이어지고, 6~7월까지 장마 기간에 평균 누적 강수량(292.2㎜)의 3배가 넘는 900㎜의 비가 내린 탓이다. 수확기를 앞둔 10월 말에는 이례적으로 우박까지 떨어졌다.
대구는 1899년 미국인 선교사가 자택 정원에 사과나무를 심어 수확에 성공한 뒤 지역 전체로 사과 재배가 확산되면서 대표적 사과 산지로 떠올랐다. 하지만 기후 변화로 사과 산지는 강원도까지 북상하고 있다. 2005년만 해도 강원 지역의 사과 재배 면적은 전체 사과 재배 면적의 0.5%에 불과했으나 지난해에는 비중이 5.0%로 늘었다.
윤태명 경북대 사과연구소장(원예과학과 명예교수)은 “기후 변화라는 초대형 변수가 생겼는데, 사과 재배 기술은 20년 동안 그대로”라며 “예상치 못한 재해가 발생하더라도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과수 재배 기술을 고도화해 생산 비용을 떨어뜨리고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규현 기자 [email protected]
https://www.hani.co.kr/arti/area/area_general/1135802.html
90% 폭등 사과값 뒤엔 ‘도매시장 경매제’
수정 2024-04-09 17:58 등록 2024-04-09 07:00
소수 도매시장법인이 수탁권 독점
“우리 사과가 작년에 을매나 마이 다칫는지 함 보소. 사과값이 금값이면 머 하능교.”
지난 4일 오전 경북 영주시 문수면의 한 사과밭. 장신덕(65)씨가 저온창고 문을 열자 시큼한 냄새가 코를 찔렀다. 싱싱한 사과가 쌓여 있어야 할 창고에 흠집 나고 물러진 사과 500여개가 노란 플라스틱 상자에 담겨 있었던 것이다. 지난가을 우박을 맞아 내다 팔지 못한 사과들이라고 했다.
생산 30% 감소에 가격은 90% 상승
올해로 32년째 사과 농사를 짓는 장씨는 지난해가 “농사짓기 가장 힘든 한 해”였다고 했다. “5월에 영하 7도까지 내려갔다 카마 믿겠습니꺼. 사과꽃 나자마자 다 얼어 죽어뿌고, 여름 내내 비 억수로 퍼붓고, 10월에는 달걀만 한 우박이 떨어져가 난리 났다 아입니꺼.”
지난해보다 3배 가까이 도매가격이 올랐지만, 내다 팔 사과가 없으니 소득은 줄었다. 장씨는 “한 해 사과 매출이 1억4천만원 정도인데, 올해는 반토막이 났다. 사과가 금값이라도 이득 보는 건 우리 같은 농민이 아니라 따로 있다”며 얼굴을 붉혔다.
지난 2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 동향’에서 지난달 사과값은 1년 전 같은 달에 견줘 88.2% 올랐다.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0년 1월 이후 최대치다. 지난해 사과 생산량은 39만4428톤으로 전년(56만6041톤)보다 30.3% 줄었다. 생산량 감소폭에 견줘 사과값 상승폭이 3배 가까이 높은 셈이다.
같은 날 아침 8시 서울 송파구 가락농수산물종합도매시장의 과일 경매장에서 사과 경매가 한창이었다. “삼번 육만, 육만이천, 따이따이따이….” 이동식 경매대에 올라선 경매사의 속사포 랩 같은 ‘호창’이 울려 퍼졌다. 한쪽에 전국 산지에서 온 10㎏짜리 사과 상자 500여개가 쌓여 있었다. 중도매인 10여명이 빠른 손놀림으로 응찰기에 사과값을 눌렀다. 전자현황판에 뜬 최고가는 7만원(10㎏)이었다.
가락시장에서 만난 경매사 김아무개씨는 “12년 동안 경매를 하면서 올해처럼 이렇게 (사과 물량이) 없던 적도, 비싼 적도 처음”이라며 “작년 이맘때 사과 10㎏이 4만~5만원 정도였는데, 최근엔 최고가가 11만원까지 나왔다”고 말했다. 지난해에 견줘 사과 도매가격이 2~3배 높아졌다는 얘기다.
가락시장은 우리 농산물 가격의 ‘기준점’이 되는 곳이다. 전체 농산물의 50% 이상이 전국 33개 공영도매시장에서 거래되고, 이 가운데 40%가량이 가락시장으로 온다. 대형마트가 산지 농민과 직접 거래하는 비율이 갈수록 늘지만, 마트 가격의 기준도 가락시장 시세다.
대형 도매법인 입김에 흔들리는 ‘경매제’
공영도매시장에서 사과 등 농산물 가격이 정해지는 방식은 경매다. 생산자가 맡긴 수확물을 도매시장법인이 경매에 부쳐 중도매인에게 넘기고, 낙찰가의 4~7%를 수수료로 받는다. 전국 공영도매시장의 경매는 지정된 도매시장법인을 통해서만 가능한데, 가락시장에는 농협 포함 6개 도매시장법인이 있다. 보통 중도매인들은 하나의 도매시장법인에 속해 경매에 참여하고, 낙찰받은 물건을 마트나 소매점에 판다. 최대한 비싸게 팔아야 하는 도매시장법인과 싸게 사야 하는 중도매인의 긴장 속에서 ‘공정한 시장가격’이 형성될 거란 기대로 만들어진 시스템이다.
하지만 대형 도매법인들이 독점 운영하는 ‘경매제’가 유통 비용을 끌어올린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2021년에 발간한 ‘농수산물도매시장 주요 쟁점과 정책적 함의’ 보고서에서 “경매사(도매시장법인)가 특정 중도매인에게 낮은 가격에 입찰시켜주거나, 좋은 품질의 상품을 독점적으로 낙찰받게 해주고, 경락가격을 조작하는 등 불공정 행위가 빈번하게 발생한다”며 “2019년 9월 거래된 주요 13개 품목의 전체 거래 중 단독 응찰이 1.79%, 경매 개시 뒤 3초 이내 낙찰 건수가 33.28%로 나타나 경매 공정성에 대한 의혹이 고조됐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더해 소수의 도매시장법인이 수탁권을 반영구적으로 독점하는 구조가 가격 상승을 한층 가파르게 한다. 수수료 장사를 하는 도매시장법인 입장에선 사과값이 비쌀수록 이득이기 때문에 시장 공급량을 줄이면 줄였지 굳이 늘릴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협회까지 꾸려 세력을 공고히 한 도매시장법인들은 누구 눈치 볼 것 없이 ‘땅 짚고 헤엄치는’ 현금 장사를 할 수 있고, 농산물 가격이 오르면 오를수록 돈을 더 벌어 자금력을 키우는 것이다.
최병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사과는 가을에 수확해 저장했다가 다음해 1년 동안 먹는 과일인데, 사과를 가지고 있는 유통업자들이 저장 창고 문을 닫고 공급을 조절하면 값이 점점 더 오르게 된다”며 “당장 내놓지 않고 참았다가 열흘 뒤 경매에 부치면 몇배로 가격이 뛸 텐데 시장에 풀겠느냐”고 반문했다.
정부의 ‘금사과 대책’ 효과 있을까?
정부는 사과값 안정화 대책을 부랴부랴 내놨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 2일 물가관계 장관회의에서 내놓은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2024~2030)이다. 강원도 사과 산지의 재배 면적을 2배 이상 넓히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재해(냉해·태풍·폭염) 예방시설 보급률을 30%까지 올리겠다는 게 주요 내용이다. 여기엔 계약재배 물량을 6만톤으로 확대하고, 온라인 도매시장 활성화로 유통 비용을 10% 절감하겠다는 계획도 포함됐다.
하지만 이런 대책이 사과값 안정에 효과가 있을지는 의문이다. 가격 상승의 원인인 ‘도매시장 경매제도’를 손보지 않는 한 생산량이 조금만 줄어도 가격이 폭등하는 현상이 반복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백혜숙 지속가능국민밥상포럼 대표는 “기후위기 시대에는 농산물 유통 구조가 더 유연해져야 한다. 도매시장에서 경매로만 농산물 가격을 정하는 현행 방식이 아니라 도매상이 생산자·소비자와 직거래할 수 있는 ‘시장도매인 제도’를 도입하면 도매시장법인의 독점을 완화해 농산물 가격이 지금보다는 안정될 여지가 생길 것”이라고 했다.
김규현 최예린 허윤희 기자 [email protected]
한겨레
https://www.hani.co.kr
한겨레 앱 (안드로이드)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kr.co.hani.news&hl=ko&gl=US
한겨레 앱 (iOS)
https://apps.apple.com/kr/app/%ED%95%9C%EA%B2%A8%EB%A0%88/id420600963
뉴스타파
https://newstapa.org/
미디어오늘
https://www.mediatoday.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